Javascirpt = > html 조작과 변경 즉 브라우저의 동적으로 만들 기 위한 도구 ;
자바스크립트는 그럼 뭐로 동작하나? => **브라우저**가 담당한다.
node.js => 원래 자바스크립트를 읽는 크롬의 엔진이다. 즉 실행환경이라 생각할 수 있다.
(브라우저 없이 javascript를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 가능);
-NOn-blocking io
Node.js 특징
Node.js , MongoDB
서버를 쉽게 생각해보자 => 닭갈비집 알바생 (server) * 요청 처리 기능
HTTP 요청
1. 읽기 (GET) == 글 가져오기 (미두 프로젝트엔 생각보다 필요 없을 듯?)
2. 쓰기 (POST) == 글 발행 (글 발행 시켜서 mongoDB에 저장시켜놓아야 함)
3. 수정 (PUT)
4. 삭제 (DELETE)
우리 => 손님
서버 개발자가 짜는 코드
// 어떤 사람이 comic.naver.com => 메인 html 전송해주기
// 어떤 사람이 List라는 페이지를 GET 요청 시 해당 파일 보내줌
일반서버와 Node.js 가 만든 서버의 차이
전통적 서버 : 요청 순서대로 처리
Node.js 서버 : 요청 우선 전체 미리 받고 처리 시킴
Node.js의 강점 : SNS 같은 서비스의 경우 요청이 굉장히 많음 but nodejs는 빠르고 코드가
매우 짧고 쉬워서 빠른 개발 가능
props 문법 편하게 쓰려면 (destructuring 문법 사용)
fetch.then(()⇒{}) ⇒ get 및 post 요청이 성공했을 시 실행